CSAPP

아래의 내용들은 시스템 프로그래밍(CS230; CSAPP)를 수강할 때 lab session을 진행하고 통과된 코드를 모아두었습니다. 특히 기본적으로 CMU에서 제공하는 datalab 자료 에서 구현하라고 한 함수들과 각 대학에서 주는 과제들을 통합했습니다. 모을 수 있는 함수들은 모두 모았으니 이 글 하나로도 datalab을 정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 관련된 개념들은 작성한 글의 링크를 달아두었으니 모르는 개념이 있으면 해당 링크를 참고하셔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[CSAPP/Lab Session] - [CSAPP] Datalab :: bits.c (시스템 프로그래밍, 데이터랩) - Part1bitXor, bitAnd, bitNor, bitOr / getByte, reverseBytes, lo..
아래의 내용들은 시스템 프로그래밍(CS230; CSAPP)를 수강할 때 lab session을 진행하고 통과된 코드를 모아두었습니다. 특히 기본적으로 CMU에서 제공하는 datalab 자료 에서 구현하라고 한 함수들과 각 대학에서 주는 과제들을 통합했습니다. 아래에 datalab 문제의 해설 및 풀이가 있으니 공부에 활용하세요. 데이터랩 과제와 지필고사를 준비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 다른 bits.c 시프 데이터랩 풀이를 보려면 아래에서 원하는 함수를 검색하세요![CSAPP/Lab Session] - [CSAPP] Datalab :: bits.c (시스템 프로그래밍, 데이터랩) - Part1bitXor, bitAnd, bitNor, bitOr / getByte, reverseBytes,..
아래의 내용들은 시스템 프로그래밍(CS230; CSAPP)를 수강할 때 lab session을 진행하고 통과된 코드를 모아두었습니다. 특히 기본적으로 CMU에서 제공하는 datalab 자료 에서 구현하라고 한 함수들과 각 대학에서 주는 과제들을 통합했습니다. 모을 수 있는 함수들은 모두 모았으니 이 글 하나로도 datalab을 정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[CSAPP/Lab Session] - [CSAPP] Datalab :: bits.c (시스템 프로그래밍, 데이터랩) - Part1bitXor, bitAnd, bitNor, bitOr / getByte, reverseBytes, logicalShift / Tmin, Tmax, negate, sm2tc, tc2sm[CSAPP/Lab Session] - [C..
아래의 내용들은 시스템 프로그래밍(CS230; CSAPP)를 수강할 때 lab session을 진행하면서 얻은 알고리즘을 정리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비트 세기 알고리즘, Bit Counting Algorithm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이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자세한 코드는 다른 글을 통해서 설명하겠습니다. Bit Counting Algorithm은 선형적인 방법(linear)과 이분적인 방법(binary)가 있으니, 이를 구분해서 글을 읽으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. Binary algorithm은 3. Neighbor Counting과 4. Cross Counting 을 소개합니다. 연산자 개수 단축을 위해서 datalab을 해결할 때에는 두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합니다. 일부 랩..
민호이
'CSAPP' 카테고리의 글 목록